2022. 6. 29. 11:09ㆍ구약 BIBLE/이사야
<이사야 35장 줄거리>
1. 택하신 백성은 구속받음.
<이사야 35장 개역개정>
1. 광야와 메마른 땅이 기뻐하며 사막이 백합화 같이 피어 즐거워하며
2. 무성하게 피어 기쁜 노래로 즐거워하며 레바논의 영광과 갈멜과 사론의 아름다움을 얻을 것이라 그것들이 여호와의 영광 곧 우리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보리로다
3. 너희는 약한 손을 강하게 하며 떨리는 무릎을 굳게 하며
4. 겁내는 자들에게 이르기를 굳세어라,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희 하나님이 오사 보복하시며 갚아 주실 것이라 하나님이 오사 너희를 구하시리라 하라
5. 그 때에 맹인의 눈이 밝을 것이며 못 듣는 사람의 귀가 열릴 것이며
6. 그 때에 저는 자는 사슴 같이 뛸 것이며 말 못하는 자의 혀는 노래하리니 이는 광야에서 물이 솟겠고 사막에서 시내가 흐를 것임이라
7. 뜨거운 사막이 변하여 못이 될 것이며 메마른 땅이 변하여 원천이 될 것이며 승냥이의 눕던 곳에 풀과 갈대와 부들이 날 것이며
8. 거기에 대로가 있어 그 길을 거룩한 길이라 일컫는 바 되리니 깨끗하지 못한 자는 지나가지 못하겠고 오직 구속함을 입은 자들을 위하여 있게 될 것이라 우매한 행인은 그 길로 다니지 못할 것이며
9. 거기에는 사자가 없고 사나운 짐승이 그리로 올라가지 아니하므로 그것을 만나지 못하겠고 오직 구속함을 받은 자만 그리로 행할 것이며
10. 여호와의 속량함을 받은 자들이 돌아오되 노래하며 시온에 이르러 그들의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리로다
<이사야 35장 성경주석>
(이사야 35:1) 광야와 메마른 땅이...피어 즐거워하며.
프록쉬(Procksch)가 단테의 '신곡'에서 차용하여 '지옥 대 낙원'(Infernoc. Paradiso)이라 이름지은 것처럼(Leupold) 34장과 본장은 첨예란 대조를 이룬다. 그것은 특히 땅의 변화에서 현저하다.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하는 원수들을 대표하는 에돔은 황무한 땅으로 변하는 반면에, '광야와 메마른 땅'(사막)은 백합화 꽃피는 소망스럽고 기쁜 낙원으로 화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사막'은 아마도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벨론 포로 생활을 끝내고 유다 땅으로 귀환하는 길에 경유하게 되는 시리아 사막을 가르킨다고 해석해 볼 수도 있으나(Delitzsch, Lange), 메시아 왕국의 도래를 열망하는 본장의 문맥상 이는 성도들이 통과해야 할 죄많은 이 세상을 암시하는 듯하다. '백합화'로 번역되 '하바찰레트'가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는 불분명한데, 아마도 그것은 풍부한 경우 뒤에 즉시 만개하여 온 땅을 융단처럼 수놓은 작은 꽃들을 가리킬 것이다(Oswalt).
(이사야 35:2) 레바논의 영광과...얻을 것이라.
전 절에서 묘사된 완전하고 즐거운 변화의 상을 더욱 인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선지자는 독자들에게 친숙한 세 개의 비교를 덧붙인다. : '레바논의 영광이 그것(사막)에 주어졌고 갈멜과 사론의 아름다움'(원문). 이들 세 지역은 비옥함과 아름다움으로 유명한데, 특히 '레바논'은 향기로운 백향목으로, '갈멜'은 웅장한 상수리나무로, 그리고 '샤론'은 꽃들과 비옥한 목초지로 이름이 나있다(33:9 참고, Leupold).
(이사야 35:2) 그것들이 여호와의...아름다움을 보리로다.
문장 초두에 나와 있는 '헤마'를 개역 성경은 '그것들'이라고 번역하여 마치 광야와 메마른 땅(Vitringa) 혹은 바로 앞에 거론된 세 지역(Delitzsch, Lange)이 지칭된 것처럼 하였다. 그러나 이것의 가장 적절한 의미는 70인역(LXX)에서 주어진 듯하다 : '내 백성.'
(이사야 35:3,4) 너희는 약한 손을...두려워하지 말라.
이러한 영광스러운 변화에의 전망과 더불어 현실에서 좌절하고 절망한 백성들에게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가 주어진다 : '강하게 하라. 축 쳐진 손들을, 그리고 흔들리는 무릎들을 굳게 하라'(원문). '밑으로 처진 손'과 '요동하는 무릎'은 각각 연약함과 버티지 못함을 상징한다(Alexander). 이들은 삶의 목적을 상실할 뿐더러 더 이상 삶을 영위해 갈 만한 힘을 잃어버린 자들이다(히12:12). 이러한 자들에게 새로운 삶의 소망과 의미, 그리고 능력이 허용된다. 그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구원 행위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다.
(이사야 35:4) 너희 하나님이 오사...너희를 구원하시리라 하라.
하나님이 너무 멀리 계셔서 그에게 아무리 가까이 가고자 하여도 닿지 못한다고 탄식하는 자들에게 들려지는 대답이다. 이 말속에서 '여호와의 오심'이 강조되고 있는데 그의 오심은 그가 이루고자 하는 두 가지 목적과 결부되어 있다. 곧 그것은 하나님의 백성을 억압했던 원수들에 대한 공의로운 보응과 복수, 그리고 그의 백성에 대한 구원이다(살후1:6,7 참고).
(이사야 35:5) 그 때에.
하나님의 구원 약속이 성취되어질 미래의 그 시간을 강조하기 위해 덧붙여진 것이다.
(이사야 35:5) 맹인의 눈이...귀가 열릴 것이며.
인간의 여러 신체 기능 중 특히 '눈'과 '귀'는 육체적 상태와 아울러 영적인 상태를 암시하는 말로 자주 사용된다(6:10; 29:9,10; 30:20,21; 32:3). 델리취(Delizsch)는 여기 언급된 육체적 치유가 영적 치유를 비유할 뿐더러 장차 여호와의 오심으로 인해 실현되어질 전인격적이고도 총체적인 구원의 외적인 측면을 나타낸다고 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지적은 적절하다.
(이사야 35:7) 뜨거운 사막이 변하여...원천이 될 것이며.
사막에서 '물이 솟고-시내가 흐르고-못이 되고-마침내 원천이 되는 '일련의 계속적인 발전을 통해서 여호와로 말미암아 이루어질 구원의 완전성이 강조된다. '뜨거운 사막'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솨라브'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낮은 대기층에서 불균등한 빛의 굴절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기루'와 같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Alexander). 그렇다면 불볕 내리쬐는 사막에서 목이 갈한 이들을 헛된 환영으로 유도하는 이 가짜 오아시스가 물이 가득 고여 있는 진짜 '못'(*아감)으로 변하게 될 것이다.
(이사야 35:7) 승냥이의 눕던 곳에 출과 갈대와 부들이 날 것이며.
여호와께서 시온의 송사를 위해 에돔에게 보수하시는 행위(34:8)를 통해 에돔 궁궐이 '시랑의 굴'이 풀과 갈대와 부들이 자라나는 윤택한 초장으로 변하게 될 것이다(43:19,20 참고, Oswalt).
(이사야 35:8) 거기에 대로가 있어.
8-10절은 하나님께 구속받은 자들이 '시온으로 돌아오는'(10절) 대로에 대해서 말한다. 본디 길을 찾을 수 있는 '공공도로'(*마슬룰)가 놓여진다는 것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이적적인 일인데, 이 일은 사막이 낙원으로 변함과 동시에 이루어질 것이다. 본문은 '통행 기능과 불가능'이란 측면에서 34:10과 예리한 대조를 이룬다('대로'에 대하여는 11:16을 참고하라).
(이사야 35:8) 그 길을...있게 될 것이라.
'그 길'이 '거룩한 길'인 것은 그것이 여호와의 거룩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질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 길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거룩함을 덧입는 성도들이라는데 기인한 것이다. 그 길은 '오직 구속함을 입은 자들'을 위해서만 있게 될 것이다. 그럴진대 '깨끗하지 못한 자' 곧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이방인들과 또 이스라엘 자녀 중에서 구속받지 못한 자들은 그 길을 지나지 못한다.
(이사야 35:8) 우매한 행인은...다니지 못할 것이며.
본문은 전혀 다른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1)그 길이 너무도 정확하기 때문에 심지어 '바보'(*에윌림)라도 실수함 없이 갈 수 있다(KJV, E. Young, Alexander, Delizsch, Leupold). (2)하나님의 진리를 고의적으로 거부하는 사람(바보)은 그 길을 결코 가지 못한다. 이 경우, 그 의미는 '깨끗하지 못한 자는 지나지 못한다'는 말과 같게 될 것이다(Oswalt).
(이사야 35:10) 여호와의 속량함을 받은 자들아 돌아오되.
여호와의 '속량함을 얻은 자들'(*페두예)는 전절의 '구속함을 얻은 자'(*게울림)에 평행하는 말로서 동의어이다. '되사다', '구속하다', '친족의 권리를 행사하다'는 뜻을 가진 '가알'동사는 법정 용어로서 친족에 대해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의무를 이행하는 일과 연관된 말이다(레25:25,32,48;민35:19;룻4:4,6). 이 말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의 학정 밑에서 구속하신 행위와 관련하여 자신을 '고엘'로서 소개하신 이래, 깊은 종교적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43:1;48:20;출6:6;15:13;시74:2;106:10 참고). '구속하다'(*가알)는 낱말은 바벨론에서의 귀환이라는 소망스러운 주제를 다루고 있는 본서의 후반부에서 집중적으로 나온다(41:14; 43:14; 60:16; 63:16). '속량하다', '몸값을 지불하고 풀어주다'는 뜻을 가진 '파다' 동사 역시 초태생의 구별과 연관된 법정 용어였으나(출13:13,15 참고),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신 하나님의 행위를 묘사하는 말로 전용되었다(특히 신7:8;9:26 등). '구속하다'와 '속량하다', 이 두 말은 렘31:11에서도 같이 나오는데 거기에서도 시온의 주제가 '속량받고 구속함을 얻은 자들'과 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렘31:12, J.Watts).
(이사야 35:8) 시온에 이르러.
하나님의 성이 있는 시온은 이 대로의 최종 도착지일 뿐 아니라 모든 성도의 삶의 목적이기도 하다. 그곳에만 하나님의 백성이 갈망하는 참된 안식이 있으며 사라지지 않는 기쁨이 있다. 길(Gill)은 말한다 : "묘사된 '대로'는 '밑에 있는 시온' 즉 교회로 향할 뿐 아니라 '위에 있는 시온' 즉 천국으로도 향한다. 이 길을 걷는 모든 구속된 성도는 그곳에 도달할 것이다. 죽음의 순간에 그들의 영혼은 그 주인인 하나님께로 돌아간다. 그리고 부활의 순간에 그들의 육체는 흙무덤에서 돌아와 마침내 시온에서 하나님 앞에 마주서게 될 것이다."
(이사야 35:8) 그들의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이는 그 얼굴이 항상 희락이 넘칠 것을 가리키니, 즉 시온에 이르는 성도의 마음이 이와 같을 것을 일컫는 말이다.
(이사야 35:8)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리로다.
현대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본문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 '기쁨과 즐거움이 그들을 따라잡고, 슬픔과 탄식이 달아날 것이다'(원문, 신28:2; 시23:6 참고). 그럴진대, 시온의 백성들, 곧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속량받고 구속함을 입은 성도들의 삶은 얼마나 복될 것인가!
'구약 BIBLE > 이사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야37장 성경주석 (0) | 2022.07.01 |
---|---|
이사야36장 성경주석 (0) | 2022.06.30 |
이사야34장 성경주석 (0) | 2022.06.29 |
이사야33장 성경주석 (0) | 2022.06.28 |
이사야32장 성경주석 (0) | 2022.06.28 |